투수에게 볼 4개가 의미하는 것


투수에게 볼 4개가 의미하는 것
투수가 홈런을 가장 많이 맞는 볼카운트는 3볼-1스트라이크다. 볼넷을 피하기 위해 스트라이크를 던지려다 한가운데로 몰리기 일쑤다. 제구력 좋기로 유명한 토론토 블루제이스 류현진(33)은 "야구를 시작할 때부터 '볼넷을 주느니 차라리 안타를 맞으라'는 얘기를 수십 번씩 들었다"고 했다. 투수에게 볼넷은 그 정도로 피하고 싶은 적이자 불안 요소다.
볼넷은 투수가 가장 비효율적으로 출루를 허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. 상대 타자에게 힘 한 번 쓰지 않고 걸어나갈 기회를 준다. 반면 투수가 속한 팀은 잃는 게 너무 많다. 볼넷이 쌓이면 자연스럽게 투수의 투구 수가 많아지고, 수비 시간도 늘어난다. 결국 야수들의 타격 집중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.
야구에 볼넷과 비슷한 개념이 처음 생긴 건 1863년이다. '볼로 판정된 공이 3개를 넘기면 타자를 1루로 보낸다'는 룰이 도입됐다. 투수가 일부러 계속 볼을 던져 타자를 자극하는 신경전을 막기 위해서였다. 하지만 '볼 3개'가 투수에게 너무 가혹한 제한이라는 불만이 잇따랐다. 1871년부터 그 숫자를 9개로 대폭 늘렸다.
이번엔 경기 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. 1880년 8개→1882년 7개→1884년 6개→1886년 7개→1887년 5개 순으로 끊임없는 변화를 겪었다. 1889년 볼 수가 4개로 줄어든 뒤에야 비로소 새 룰이 정착됐다. 이후 140년 동안 변하지 않았다. 숱한 시행착오 끝에 찾아낸 최적의 기준이 '볼넷'인 셈이다. 한 타자에게 볼 4개 이상을 던졌다면, 더이상 정면승부 할 자격이 없다는 의미도 된다.
9일 인천 SK행복드림구장 전광판. 키움 타선이 얻어낸 볼넷 숫자에 '16'이라는 숫자가 선명하게 적혀 있다. [뉴스1]
9일 밤, 프로야구 SK 와이번스 투수들은 타자와 싸울 권리를 여러 차례 스스로 반납했다. 인천 홈 경기에서 키움 히어로즈 타선에 볼넷 16개를 내줬다. KBO리그 역대 최다 기록이다.
이전까지는 14개가 가장 많았다. 한화 이글스가 2008년 9월 3일 잠실 두산 베어스전에서 볼넷 14개를 허용했다. 차이가 있다면, 그 경기는 연장 18회까지 진행됐다는 거다. SK는 그 절반인 정규이닝(9이닝) 동안 더 처참한 기록을 남겼다. 12년간 남아 있던 불명예 기록을 끝내 갈아치웠다.
창단 이래 최악의 하루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. SK는 볼넷 16개와 함께 11연패를 기록했다. 창단 시즌인 2000년 7월 이후 20년 만에 팀 역대 최다 연패 기록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. 하루 전(8일) 15점을 뽑고도 16점을 내줘 역전패한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이다. 최하위로 추락할 위기까지 닥쳐 설상가상이다.
SK는 지난해 정규시즌을 2위로 마쳤다. 재작년엔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했다. 강팀이었다. 그런데 한 시즌 새 불가사의할 정도로 급격히 무너졌다. 팀 전체가 무기력한 상실감에 젖어있는 분위기다. 지금 무엇보다 중요한 건, SK가 참담했던 '16볼넷'의 그림자를 향후 어떤 동력으로 삼느냐다. SK 마운드, 아니 SK 선수단 전체가 '강팀의 자격'을 되찾는 모습을 보고 싶다.
